ALL INFO Know-How GARAGE
본문 바로가기
정보/튜토리얼&Tip

빠른 윈도우 종료 버튼 (shutdown icon) 만들기

by ERS 2023. 12. 6.

 

여러분은 컴퓨터 종료 할 때 어떻게 하시나요? 아마도 대부분은 윈도우 작업표시줄에 [시작]에서 [시스템 종료]를 많이 하실 겁니다. 두 번을 클릭해야 종료되는 기존 방법에서 편리하게 한 번으로 종료되는 방법과 나만의 디자인으로 아이콘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미지 파일 만들기

① .PNG 파일 만들기 (생략 가능)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기본 아이콘으로 설정하셔도 되니 파일 준비가 안되시는 분은 이 과정은 생략하셔도 됩니다. 아니면 .PNG 파일의 이미지를 구하셔도 됩니다. 일반 이미지의 경우 흰색 배경이 있으면 아이콘으로 생성 시 좀 부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PNG 파일은 배경색을 날릴 수 있어 좀 더 자연스러운 아이콘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인터넷에서 받거나 자신이 만든 일러스트레이터 .ai 파일을 열어줍니다.

• 파일 → 내보내기 → 파일 이름을 정하고 파일 형식은 .PNG → 저장

• .PNG 옵션 설정

포토샵 PNG 파일 옵션 설정

② .ICO 파일 만들기

Convertico ☜ 링크 클릭

.PNG 파일을 .ICO 파일로 만들어 주는 사이트입니다.

Convertico 사이트 메인

• 상단 convert 옵션을 클릭하면 .PNG 파일 이외에도 다른 파일을 변환할 수 있습니다.

• Drop your .png files here, or click to select them manually! 이 부분에 파일을 끌어다 놓거나, 클릭해서 저장된 파일을 불러옵니다.

 

변환된-ico-파일
변환된 ico 파일

• 파일을 불러오면 자동으로 변환됩니다. 해당 이미지를 클릭해 저장합니다.

※ 변경된 ico 파일은 다른 위치로 저장해 두시기 바랍니다. 차후 만들어질 바로가기 아이콘에서 이미지가 정해진 위치에 없으면 이미지 불러오기가 안되서 이미지가 뜨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이콘 바로가기 만들기 설정

• 컴퓨터 바탕화면 마우스 우클릭 → 새로 만들기 → 바로가기

• 항목 위치 입력란에 shutdown -s -t 0 입력 → 다음

• 바로 가기에 사용할 이름 설정 (예: shutdown.exe) → 마침

• 바탕화면에 생성된 shutdown.exe 파일 마우스 우클릭 → 속성

• 아이콘 변경 클릭 (경고창 : 확인)

• 자신이 만든 아이콘이 있는 경우 ‘찾아보기’ 클릭 열기 → 확인

• 자신이 만든 아이콘이 없을 경우 아래 이미지에서 선택 → 확인

• shutdown.exe 속성창 적용 클릭 → 확인 클릭

 

 

종료 방법

• 만들어진 해당 아이콘이 ‘바탕화면’에 있을 경우, 더블 클릭하면 자동으로 종료됩니다.

윈도우-작업표시줄-빠른-아이콘-적용된-이미지
윈도우 작업표시줄 적용

• 해당 아이콘을 작업 표시줄에 끌어다 놓으면 1번의 클릭으로 컴퓨터를 빠르고 쉽게 종료할 수 있습니다.

• 작업 표시줄에 놓으셨다면 바탕화면의 아이콘은 실수로 클릭하지 않게 지우시는 게 좋습니다.

 


 

 

 

Adobe 앱 라이선스 관련 알림창 없애기

어도비 프로그램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를 실행하면 ‘Adobe 앱 라이선스가 올바르지 않아 곧 차단됩니다! 지금 Adobe 정품 앱으로 교체하고 최대 25%의 비용을 절감하세요.’라는 문구가 뜨기

e-rs.tistory.com

 

 

오래된 컴퓨터(PC)의 성능 최적화 작업하기

10여 년 이상 쓴 오래된 구형 컴퓨터의 성능을 올리는 작업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가장 기본적인 것은 SSD 교체가 답이다. 지금은 SSD나 M.2 NVMe가 보편화되어 있지만 아직도 SATA방식의 HDD를 사용하

e-rs.tistory.com

 

 

CPU, GPU, SSD, RAM USB 성능 비교

컴퓨터 부품의 업그레이드나 교체를 하기전 CPU, GPU, SSD, RAM USB의 각각 부품과 성능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 소개 합니다. 컴퓨터 부품의 스펙과 성능을 비교해 볼 수 있는 곳 ▼ U

e-r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