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NFO Know-How GARAGE
본문 바로가기
정보/튜토리얼&Tip

NVIDIA, RADEON 그래픽 카드 성능 구분 방법 및 intel CPU 시리얼 번호 조회로 유통사 찾기

by ERS 2023. 11. 16.

 

그래픽 카드 제조사로는 두 양대산맥이 존재합니다. 바로 ‘NVIDIA’와 ‘RADEON’. 얇은 PCB 기판에 쿨러 한 두 개씩 달려 나오던 그래픽 카드가 수년이 흐른 이제는 수 십만 원을 호가하고, 무게, 두께, 팬의 개수까지 늘어나며 많은 발전을 하고 있습니다. 비싸다고 최신 그래픽을 선택하기보다 자신에게 맞는 그래픽을 선택해야 할 때, 이러한 그래픽 카드에 붙은 숫자와 명칭은 무엇을 의미하며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제조사 그래픽 카드 구분

① NVIDIA 그래픽 카드

• GT » 보급형 / 저가형

▷ GT630 » 인텔 4세대 cpu / 하스웰 내장 그래픽 카드 정도의 성능

▷ GT1030 » 세대수는 앞서지만 GTX650Ti 급의 성능

• GTS » 중급형

• GTX » 고급형

• RTX » 최고급형

☞ 앞 자리는 세대수 / 중간 숫자가 높으면 앞 세대보다 높은 성능 / 숫자뒤에 적힌 Ti는 성능 업그레이드 버전

예시)

▷ GTS250 > GT630

▷ GTX1060 > GTX1650

▷ GTX1050Ti ≧ GTX960 > GTX1050

 

 

② RADEON 그래픽 카드

• RADEON 그래픽 카드에는 HD / RX 명칭이 붙음.

• HD : 구형 버전 / RX : 최신 버전.

• 여러 제조사 중 라데온만 전문 생산하는 사파이어가 좋다는 평이 많음.

• 사파이어 중 펄스는 단가 절감형이라 니트로 모델이 좋음.

• 가성비로 승부하지만 아직은 NVIDIA에 비해 인지도나 선호도는 낮음.

• 영상 재생시 60 프레임으로 UP 시켜줌으로 영상을 부드럽게 해주는 ‘플루이드 모션’ 기능이 있음. (HD 시리즈는 지원이 안되지만 비공식적으로 가능은 함. RX5000 시리즈부터는 공식적으로 ‘플루이드 모션’ 지원 안 함)

 

 

CPU 제조사 구분

인텔(intel) CPU

☞ 셀러론(Celeron) / 펜티엄(Pentium) » 보급형 / 사무용

• 앞자리 세대수 숫자는 의미 없음

• 숫자 앞에 G 로 표기. (예:G1610)

• 숫자 뒤에 G 표기는 AMD 라이젠 CPU (예:2200G)

 

☞ 코어(core)=두뇌 역할 / 스레드(thread)=팔 역할 (많을수록 일 처리가 좋음)

• i3 2 코어 4 스레드 » 중급형

• i5 4 코어 4 스레드 » 고급형

• i7 4코어 8 스레드 » 최고급형

• 8세대부터 i3 ~ i7 코어 및 스레드 증가

 

☞ 앞자리 세대수 (1세대에는 천 번 때 앞자리가 없음)

• 뒷자리가 높을수록 성능 소폭 향상

예시) i5 4570 » 4세대 / i7 870 » 1세대

 

☞ 1세대에서 2세대는 20~30% 성능 향상

• 이후 세대는 세대별로 10% 정도 향상.

• 2세대 이후부터는 더딘 성능.

• 경쟁사 AMD가 라이젠(RYZEN) 세대부터 성능 대폭 향상 하자, 인텔은 8세대부터 코어 및 스레드 증가, 8세대 i3가 2 코어에서 4 코어로 업그레이드되면서 7세대 i5급 성능을 가지게 됨.

 

 

intel cpu 시리얼 조회로 유통사 찾기

CPU 고장 등으로 인한 A/S가 필요할 시 보증기간이 남아 있다면 정품 확인 및 유통사를 통해 유상으로 보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CPU를 구매한 박스가 없거나 모를 경우 CPU 시리얼 번호를 통해 유통사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단, 병행 수입(그레이) 등, 명확하지 않은 경로를 통한 개별 수입된 제품은 3사 공인 A/S센터를 통한 기술 지원 및 A/S가 불가능합니다.

인텔-CPU-시리얼-번호-위치-이미지
인텔 CPU 시리얼 번호 위치 (Batch Number)

 

CPU 제일 아래에 적힌 본인의 CPU 시리얼 번호(Batch Number)를 아래 링크의 홈페이지 ‘CPU 정품검색 및 등록’ 검색란을 통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Real CPU

Real Cpu - 리얼씨피유

www.realcpu.co.kr

 

 

AMD CPU

• 6 코어, 8 코어의 코어는 많지만 단일 코어성능은 인텔의 60% 수준.

• 발열, 전력소모 등 기술적 한계로 인텔에 비해 점유율에서 크게 밀림.

• 라이젠 3000시리즈부터 또 성능대폭 향상.

• 라이젠 세대부터는 성능이 대폭향상되며, 라이젠 1000, 2000시리즈는 동시간대 출시한 인텔에 근접한 성능이라는 평. (6 코어 12 스레드, 8 코어 16 스레드 코어 및 스레드가 많아서 다중작업에는 라이젠이 유리한 성능을 보이며, 게임에서는 클럭이 높은 인텔이 유리한 성능을 보임)

 

 

라이젠(RYZEN) 세대 구분법

• 라이젠 3 » 보급형 / 사무용

앞자리 세대수 숫자는 의미 없음.

예시) 라이젠3 2200g (1세대 4 코어 4 스레드)

• 라이젠 5 » 중급형 / 고급형

• 라이젠 7 » 최고급형

앞자리 세대수 / 뒷자리 성능

뒤에 X 표기는 성능 업그레이드 버전

 

예시)

라이젠 7 1700 (1세대 최고급형 8 코어 16 스레드)

라이젠 5 2600 (2세대 고급형 6 코어 12 스레드)

라이젠 5 3500 (3세대 중급형 6 코어 6 스레드)

 

 

기타 장치

☞ HDD

디스크판을 이용한 구세대 저장장치로, SSD의 500GB, 1TB 용량대비 HDD가 가격이 많이 저렴하기에 보조 저장장치로 많이 사용함.

☞ SSD

반도체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읽기, 쓰기 등 처리속도가 HDD보다 월등히 빠르지만 HDD에 비해 가격은 높음.

☞ 램(RAM), 메모리(Memory)

인텔 기준 6세대 이전은 DDR3, 6세대부터 DDR4 (이전 대비 데이터 처리속도 향상)

 

 

☞ 파워(Power) 구매 시 주의사항

• 파워 구매시 겉에 적힌 600W 용량 보다 실제 용량은 300W도 안 되는 속칭 뻥파워가 있을 수 있으니 신중 구매해야 함.

• 고출력 그래픽 카드 사용 시 파워가 출력을 감당하지 못해 메인보드 및 부품에 손상을 입힐 수 있음.

• 계산 방법

‘+12V’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에 전력을 공급함.

파워 옆면 스티커에 숫자 중 ‘+12V’와 바로 아래 숫자 A(암페어)를 곱하면 됨.

예)

▷ 500W 표기 : +12V X 21A = 252W » 뻥파워

▷ 600W 표기 : +12V X 54.1A = 649.2W » 정격파워

파워서플라이 뻥파워 계산법

+12V가 여러 개면 곱한 값에 서로 더함.

• 80 PLUS 인증마크 붙은 파워는 안정적임.

 

 

 

CPU, GPU, SSD, RAM USB 성능 비교

컴퓨터 부품의 업그레이드나 교체를 하기전 CPU, GPU, SSD, RAM USB의 각각 부품과 성능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 소개 합니다. 컴퓨터 부품의 스펙과 성능을 비교해 볼 수 있는 곳 ▼ U

e-r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