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NFO Know-How GARAGE
본문 바로가기
정보/튜토리얼&Tip

2024년 애드센스 블로그의 수익 구조 변화(CPC클릭 종료)

by ERS 2023. 11. 9.

 

23년 11월 2일, 이번 애드센스의 수익 구조가 2024년도부터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댄 테일러(Dan Taylor) 글로벌 광고 담당 부사장의 공지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로는 수익 분배 구조 비율, 두 번째는 광고의 형태입니다. 간단히 얘기하면 수익 분배 구조의 비율은 줄어들지만 광고의 형태는 기회가 많이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어떤 변화가 생겼으며 게시자(나)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애드센스 수익 구조

광고주 »» Google Ads »» Google AdSense »» 게시자

• 광고주 : 기업 홍보를 위해 구글에게 광고를 의뢰

• Google Ads : 구글 기반 네트워크(사이트)로 텍스트, 배터, 동영상 등의 광고 캠페인을 진행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광고주만을 위한 플랫폼

• Google AdSense : 블로그 및 웹사이트에 광고주에게서 받은 광고를 적절히 게재시켜주고 수익 창출을 도와주는 프로그램

• 게시자 : 웹사이트 및 블로그를 운영하는 자

 

 

변화① : 수익 지분의 비율 업데이트

Google AdSense 수익 구조 비율 변화 공지글

기존에는 광고주가 광고비용 지출에 1$ 투자하면 Google Ads는 1$의 15%(고정)인 15¢의 수수료 갖고, Google AdSense는 나머지 85¢의 20%(고정) 수수료 17¢ 갖으며, 나머지 금액 68¢ (1$-15¢-17¢)를 게시자(나)가 갖게 되는 비율이었습니다.

 

앞으로 변할 구글 애드센스 수익 구조의 변화

하지만 앞으로는 Google Ads가 아닌 다른 제3의 플랫폼으로 바뀌게 된다고 합니다. 제 3의 플랫폼에서 얼마큼의 수수료(%)가 발생하게 될지 아직은 모릅니다. 수수료가 지금의 15%(고정) 보다 더 많을 수도 적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동안 고정적으로 발생하던 68¢의 수익창출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여겨집니다. 게시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수수료가 발생하길 바랄 뿐입니다.

 

 

변화② : 노출별(CPM) 지급방식의 전환

노출별(CPC, CPM) 지급방식의 변화 공지글

AdSense의 높은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CPC(클릭 방식)의 단가가 제일 높으며 주된 방식이었습니다. CPM(노출 방식) 또한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되지만 매우 낮은 단가로 인해 거의 체감하지 못할 정도의 수익이지만 발생했습니다.

 

공지에 따르면 2024년 초부터는 CPC방식을 없애고, CPM방식으로 전환될 것이며, CPC에서 발생하던 단가는 CPM으로 옮겨가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하지만 공지 내용글에 따르면 이러한 변화의 방식을 자체 테스트한 결과 게시자에게 큰 수익 변화를 주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글의 내용만 보자면 희소식인지 아닌지 아직은 잘 모르겠지만 Google Ads가 아닌 다른 플랫폼의 변화는 아직 기다려봐야 할 사항입니다. 많은 게시자분들이 CPC를 이용한 글쓰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기도 하고, CPC를 유도하는 것 또한 어려운 부분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CPM의 방식으로의 변화는 내 글을 읽는 독자의 클릭을 유도할 필요 없이 수익이 발생하게 되므로 앞으로는 좀 더 쉬운 글쓰기 방식으로 전환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Google에서의 변화이기 때문에 게시자(나)가 따로 설정해 주거나 할 것은 없으니 열심히 글을 쓰며 늘 그랬듯이 기다리고 지켜보도록 해야겠습니다.

 

 

 

Google 애드센스, 「지급 보류 알림」 – 본인 확인절차 정보 입력 방법

Google 애드센스 승인 후, 발생된 수익 잔고 10$가 되면 ‘대금 지급’을 받기 위한 ‘본인 확인 절차’가 필요하다는 알림 메일이 옵니다. 또는 Google 애드센스 홈 상단 or 알림 창에 지급보류에 대

e-rs.tistory.com

 

 

티스토리에 Google AdSense PIN 번호 발급받기까지

티스토리를 시작으로 Google AdSense로 수입화 한지 몇 개월이 지났습니다. 물론 수익은 최저저저..., 막연히 '네** 블로그' 정도라는 생각으로 시작했다가 html코드, SEO적인 글쓰기, 주제 찾기 등등 생

e-r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