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NFO Know-How GARAGE
본문 바로가기
정보/튜토리얼&Tip

한글 2010 프로그램 표 안에 글자를 정확하게 중앙에 위치하는 방법

by ERS 2023. 11. 2.

 

한글 프로그램 표 안에 글자를 정확하게 중앙에 위치하는 방법(2010 ver) 한글 문서 프로그램을 사용하다 보면 표 작성을 많이 하게 됩니다. 표 안에 글자를 쓰고 ‘가운데 정렬’을 해도 눈으로 보거나 출력해서 사용해도 큰 지장은 없지만 정밀한 작업(스티커 레벨지)을 요구할 때는 필요합니다. 표 안에 글자를 좀 더 정확한 방법으로 정중앙에 위치하고 싶은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글자 중앙에 위치 시키기

① 표를 작성하고 그 안에 내용들을 적습니다. 글씨는 왼쪽 정렬을 기본으로 시작합니다.

 

한글2010-문단-모양-가운데-정렬-방법
한글2010 문단 모양 '가운데 정렬'

② 글자 가운데 정렬

수정하고자 하는 표 안의 글자에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킨 후 마우스 우클릭 » 문단 모양 » 기본 » 정렬 방식 » 가운데 정렬 선택 » 설정 클릭. (또는 : 서식 » 문단 » 가운데 정렬 / 단축키 : Ctrl+Shift+C / 표 » 셀 편집 » 셀 가운데 정렬)

 

이 상태로 사용해도 사람 눈으로는 정확한 중앙인지 인지하기는 쉽지 않아 그냥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좀 더 디테일하게 중앙으로 위치시켜 보겠습니다.

 

 

한글2010-표-셀-속성-안-여백-지정-방법
한글2010 표/셀 속성 '안 여백 지정'

③ 수정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마우스 우클릭 » 표/셀 속성 » 셀 » 안 여백 지정(체크) » 왼쪽, 오른쪽, 위쪽, 아래쪽 수치를 모두 0.00mm로 설정 » 설정 클릭 (또는 ‘모두(A)’의 화살표를 아래로 클릭)

 

이렇게 하면 표 안의 모든 여백이 동일해지고 글자 또한 정중앙에 위치해지게 됩니다. 왼쪽, 오른쪽, 위쪽, 아래쪽 수치가 처음부터 동일할 경우는 제외하고 수치가 각각 다를 경우에만 사용하시면 됩니다.

 

 

표 작성 시 다른 Tip

한글2010 F5키 기능

▲ 표 작성 후 F5를 한 번 누르면 가운데 포인트가 회색이 되며 키보드 커서를 이동시키면 칸 마다 이동이 되고 개별적으로 칸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F5를 두 번 누르면 가운데 포인트가 붉은색으로 변하고 시작 위치에서부터 칸 전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Ctrl’ or ‘Shift’ or ‘Alt’ 키를 누른 체 키보드 커서 키를 누르면 칸을 변형시킬 수 있습니다.

 

한글2010-표/셀-속성-셀-크기-적용
한글2010 표/셀 속성 '셀 크기 적용'

▲  표 작성 후 각 칸마다 정확한 치수를 적용하고 싶다면 수정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마우스 우클릭 » 표/셀 속성 » 셀 » 셀 크기 적용(체크) » ‘너비’와 ‘높이’ 조절 »  설정 클릭 해주시면 됩니다.

 

 

한글2010-표-스타일
한글2010 표 스타일

▲  라벨지 사용 시 또는 기타 선이 안 나오게 출력하는 방법은 표 » 스타일 » ‘투명 모양’을 선택하면 화면상에서 보이던 기본 검은색 라인은 없어지고 붉은색의 점선 라인으로 바뀝니다. 붉은색은 가상의 선을 나타내며 출력하면 프린트 출력 시에는 보이지 않게 됩니다. 원상복구 하고 싶다면 표 » 스타일 » ‘기본 모양’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전체 설명 글 이미지로 저장해서 보기 클릭 (큰 이미지)

 

 

 

Windows 7 sp1 ie11 64bit (ko) ISO + Windows7 USB DVD Tool 다운&설치

윈도우 운영체제인 Windows 7 sp1 ie11 64bit (ko) ISO파일과 ISO파일을 USB로 부팅시킬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인 Windows7 USB DVD Tool을 공유합니다. 오래전부터 윈도우7 운영체제는 모든 업데이트 마저

e-rs.tistory.com

 

 

CPU, GPU, SSD, RAM USB 성능 비교

컴퓨터 부품의 업그레이드나 교체를 하기전 CPU, GPU, SSD, RAM USB의 각각 부품과 성능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 소개 합니다. 컴퓨터 부품의 스펙과 성능을 비교해 볼 수 있는 곳 ▼ U

e-rs.tistory.com

 

댓글